카테고리 없음

전세보증료 지원, '소득증명' 냈는데 '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' 또 내라는 이유 (실제 후기)

talk71797 2025. 10. 23. 19:50
반응형

"분명히 '소득금액증명원'을 냈는데... 왜 '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'를 또 떼오라고 하죠?"

 

저 역시 이 추가 서류 요구에 "불필요한 서류를 또 요구한다"며 불만을 가졌던 경험이 있습니다. '소득'을 증명했는데 왜 또 서류를 내라는 걸까요?

 

하지만 담당자가 이 서류를 요구하는 '진짜 이유'를 알고 나니, '소득금액증명원'만으로는 절대 알 수 없는 2가지 '현재 상태'를 확인하기 위함이었습니다.

 

1. '소득금액증명원'의 치명적인 한계 

'소득금액증명원'은 "내가 작년에 얼마를 벌었는지" (과거 소득)만 증명합니다.

 

이 서류만으로는 "내가 현재 직장에 다니는지" (현재 재직 상태)를 알 수 없습니다. 예를 들어, 작년엔 5천만 원을 벌었지만, 3개월 전에 퇴사해서 지금은 무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2. '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'가 필요한 진짜 이유 

담당자는 이 서류 한 장으로 '소득금액증명원'이 알려주지 않는 "현재 상태"를 확인합니다.

이유 1: "현재"의 '재직 상태' 증명

이 서류에는 나의 '직장가입자' 취득일(입사일)과 상실일(퇴사일)이 모두 나옵니다.

 

 공식 지침상 '소득금액증명원'만으로 '재직기간 확인이 어려운 경우', 담당자는 이 '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'로 신청자의 현재 재직(고용) 상태를 가장 확실하게 증명합니다.

이유 2: '소득 없음' 교차 검증 

 만약 내가 주부나 학생이라 '피부양자'로 등록되어 있다면, 이 서류는 "나는 현재 소득 활동을 하지 않습니다"라는 '사실증명(신고사실 없음)'보다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.

3. (꿀팁) 10초 만에 모바일로 발급받는 법 

 이 서류는 홈택스가 아닌 '국민건강보험공단' 앱(The건강보험)이나 홈페이지에서 발급받아야 빠릅니다. 주민센터까지 갈 필요가 없습니다.

 

 

  1. 'The건강보험' 앱 로그인 (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)
  2. [민원 여기요] > [증명서 발급/확인] > [자격득실확인서]
  3. 팩스 전송(주민센터) 또는 PDF 저장 (모바일 제출 시)

 

4. 요약: 두 서류의 결정적 차이

두 서류는 목적이 다릅니다.  둘 다 준비해야 서류 보완으로 인한 심사 지연을 막을 수 있습니다.

  • 소득금액증명원: (과거) 1년간 총 "소득 금액"이 얼마인가?
  •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: (현재) "재직 상태"가 무엇인가? (직장인 / 피부양자 / 지역가입자)

함께 보면 좋은 글

  • [(필수) 국토부 전세보증료 40만 원 지원, '이것' 몰라 탈락하는 3가지 함정]
  • [(강추) 홈택스 '소득금액증명원' vs '사실증명(신고사실 없음)', 5분 만에 완벽 정리]
  • [(참고) 프리랜서 '소득금액증명원', 이 3가지 모르면 대출 100% 막힙니다]
반응형